3월 12일 코인뉴스 (전일 저녁 포함)
1) 마이크로소프트, 매일 40만 건이 넘는 암호화폐 대상 공격을 차단.
11일 코인데스크 등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디펜더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이 12시간동안 암호화폐 채굴자를 대상으로 한 400,000회를 넘는 공격을 차단했다고 발표했다.마이크로소프트는 조사결과 3월 6일 정오 이전에 윈도우 디펜터 안티파이러스는 도포일(Dofoil)이라는 새로운 정교한 트로이 목마를 감지했다. 도포일은 감염될 경우, 암호화폐 채굴 멀웨어를 컴퓨터에 주입하려 시도한다.
도포일의 대다수인 73%는 러시아에서 시작된 것이며, 18%는 터키에서, 4%는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된다.2월 중순에는 암호화폐 마이닝 스크립트가 맹인을 돕는 온라인 서비스에 침투하여 영국 정부를 포함해 5000개가 넘는 웹사이트에 피해를 준 사례가 있다. 2월 초에는 모네로를 채굴하는 멀웨어가 중국과 한국에서 7000개가 넘는 안드로이드 장비에 침투한 것으로 밝혀졌다.
2) NEO Tracker “트래픽 과다로 브라우저 불안정”
NEO Tracker(NEO 지갑) 측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현재 트래픽 과다로 인해 시스템 복원 기간 동안 브라우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 등 새로운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상황이 안정되는 즉시 공지 사항을 올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3) 게이트(Gate.io) 측 “EOS 유저들에 메인넷 자산 전환 지원”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Gate.io) 측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EOS 측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이미 테스트 넷을 출시했으며, EOS ERC20 토큰을 메인 넷의 자산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우리는 EOS 측의 공식 스냅샷 계획에 따라 유저들의 EOS 메인넷 자산 전환 계획을 지원할 것이며, EOS ERC20 토큰을 보유한 유저들은 ERC20의 프라이빗 키를 사용해 EOS 메인넷 자산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4) 中 Evergrande 그룹 “중앙은행은 암호화폐 관련 연구 강화해야”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 업체인 Evergrande(恒大集团) 그룹의 수석 경제학자이자 Evergrande 경제 연구소 소장 런저핑(任泽平)은 최근 발표한 칼럼에서 지난 2월의 금융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의 인터뷰에 관한 평가를 공개했다. 그는 “중국 중앙은행은 암호화폐에 대한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서비스의 실체와 금융의 안정을 강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5) IDC “중국, 미국에 이은 두 번째 블록체인 투자 대국 될 수 있어”
최근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 IDC) 측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의 블록체인 솔루션에 대한 지출이 9.45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올해 들어 현재까지 블록체인 관련 지출은 이미 21억 달러에 육박했으며, IDC 측은 2021년까지 전 세계 블록체인 관련 지출은 총 92억 달러에 달해 연평균 성장률은 81.2%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현재까지 미국에서 이뤄진 블록체인 기술 투자가 가장 많았고, 전 세계 블록체인 관련 투자 지출의 40% 이상을 차지했으며, 서유럽, 중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역시 미국에 이어 비교적 큰 투자 규모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6) 비트코인 미확인 거래, 1148 건에 그쳐
최근 BTC의 미확인 거래량(Unconfirmed Transaction)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그 수는 1148 건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제 비트코인의 미확인 거래량이 5000 건에 달했던 수치와 비교할 때 상당히 낮아진 수치다. 현재 BTC의 시세는 6.21% 떨어진 8,859.29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7) DASH, 스위스 거래소 BACE에 상장 예정
최근 스위스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 BACE Exchange(BACE) 측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DASH의 거래소 상장 소식을 알렸다. 현재 DASH는 7.79% 떨어진 483.4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8) 中 베이징시, 블록체인 기술 도입으로 신용 중심의 감독 체제 갖춘다
최근 중국 베이징시의 경제정보화위원회(北京市经济和信息化委员会) 측은 “3월말까지 신용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응용 시범 프로젝트를 출범할 것이며,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과 자원으로 신용 중심의 새로운 시장 감독 체제를 구축해 사회와 경제 질서를 바로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9) 80%에 해당하는 기업들, 암호화폐의 거래 분야 응용에 관심
최근 미국의 시장 조사 및 리서치 기업인 뉴스타(Neustar)가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비록 암호화폐의 극심한 가격 변동과 안전성은 검증 받지 못한 상태지만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 중 80%는 BTC, LTC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 응용 분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암호화폐 시장이 점점 성숙해짐에 따라 보안성 역시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40%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디도스(DDos) 공격과, 랜섬웨어 및 해커들의 공격에 대응할 수 있을 만한 조치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국의 컴퓨터 비즈니스 리뷰(Computer Business Review)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참여 기업들 중 45%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디도스 공격에 대한 대책은 현재 기업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이며, 랜섬웨어 대책 역시 그 뒤를 이어 가장 큰 관심사인 것으로 밝혀졌다.
10) 다시 하락세로 접어든 코인 시장
오늘 새벽 비트코인(BTC) 시세가 9,000 달러선까지 무너지며 8,800 달러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현재 코인 시장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테마 종목들 중 포크 코인 종목이 평균 7.91% 상승해 분전하고 있으며, 위조 방지 테마 종목들 역시 1.11%의 소폭 상승률을 보였다. 포크 코인 테마 종목들 중 ETF가 289.90% 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평균치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종목들은 전부 하락세를 보였다. 소셜 통신 테마 종목들은 10.29%의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슈퍼컴퓨터(-10.06%), 시장 예측(-9.89%), 콘텐츠 저작권(-9.69%) 테마 코인들 역시 부진을 면치 못 했다.
11) 中 중앙당교 첸지엔치 교수 “탈중앙화는 역사적 추세, BTC 40만 달러선 가능”
중국공산당 중앙당교(Central Party School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中國共産黨中央黨校)의 첸지엔치(陈建奇) 교수는 칭화대학교 경영학원에서 주최한 암호 경제학 포럼에서 “탈중앙화는 역사적 추세이며, 사회의 발전이 반영된 현상이다. 이에 선진국들을 포함한 여러 대국들은 이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언젠가 비트코인이 ‘글로벌 화폐’로 거듭날 수 있다면, 중기적 관점에서 비트코인의 시세는 약 2~3만 달러의 가치를 지닐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40만 달러에 육박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1) 마이크로소프트, 매일 40만 건이 넘는 암호화폐 대상 공격을 차단.
11일 코인데스크 등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디펜더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이 12시간동안 암호화폐 채굴자를 대상으로 한 400,000회를 넘는 공격을 차단했다고 발표했다.마이크로소프트는 조사결과 3월 6일 정오 이전에 윈도우 디펜터 안티파이러스는 도포일(Dofoil)이라는 새로운 정교한 트로이 목마를 감지했다. 도포일은 감염될 경우, 암호화폐 채굴 멀웨어를 컴퓨터에 주입하려 시도한다.
도포일의 대다수인 73%는 러시아에서 시작된 것이며, 18%는 터키에서, 4%는 우크라이나에서 시작된다.2월 중순에는 암호화폐 마이닝 스크립트가 맹인을 돕는 온라인 서비스에 침투하여 영국 정부를 포함해 5000개가 넘는 웹사이트에 피해를 준 사례가 있다. 2월 초에는 모네로를 채굴하는 멀웨어가 중국과 한국에서 7000개가 넘는 안드로이드 장비에 침투한 것으로 밝혀졌다.
2) NEO Tracker “트래픽 과다로 브라우저 불안정”
NEO Tracker(NEO 지갑) 측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현재 트래픽 과다로 인해 시스템 복원 기간 동안 브라우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 등 새로운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상황이 안정되는 즉시 공지 사항을 올리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3) 게이트(Gate.io) 측 “EOS 유저들에 메인넷 자산 전환 지원”
홍콩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Gate.io) 측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EOS 측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이미 테스트 넷을 출시했으며, EOS ERC20 토큰을 메인 넷의 자산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우리는 EOS 측의 공식 스냅샷 계획에 따라 유저들의 EOS 메인넷 자산 전환 계획을 지원할 것이며, EOS ERC20 토큰을 보유한 유저들은 ERC20의 프라이빗 키를 사용해 EOS 메인넷 자산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4) 中 Evergrande 그룹 “중앙은행은 암호화폐 관련 연구 강화해야”
중국 최대의 부동산 개발 업체인 Evergrande(恒大集团) 그룹의 수석 경제학자이자 Evergrande 경제 연구소 소장 런저핑(任泽平)은 최근 발표한 칼럼에서 지난 2월의 금융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과,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의 인터뷰에 관한 평가를 공개했다. 그는 “중국 중앙은행은 암호화폐에 대한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 하지만 비트코인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서비스의 실체와 금융의 안정을 강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5) IDC “중국, 미국에 이은 두 번째 블록체인 투자 대국 될 수 있어”
최근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 IDC) 측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의 블록체인 솔루션에 대한 지출이 9.45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올해 들어 현재까지 블록체인 관련 지출은 이미 21억 달러에 육박했으며, IDC 측은 2021년까지 전 세계 블록체인 관련 지출은 총 92억 달러에 달해 연평균 성장률은 81.2%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현재까지 미국에서 이뤄진 블록체인 기술 투자가 가장 많았고, 전 세계 블록체인 관련 투자 지출의 40% 이상을 차지했으며, 서유럽, 중국, 아시아 태평양 지역 역시 미국에 이어 비교적 큰 투자 규모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6) 비트코인 미확인 거래, 1148 건에 그쳐
최근 BTC의 미확인 거래량(Unconfirmed Transaction)이 점점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현재 그 수는 1148 건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제 비트코인의 미확인 거래량이 5000 건에 달했던 수치와 비교할 때 상당히 낮아진 수치다. 현재 BTC의 시세는 6.21% 떨어진 8,859.29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7) DASH, 스위스 거래소 BACE에 상장 예정
최근 스위스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 BACE Exchange(BACE) 측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DASH의 거래소 상장 소식을 알렸다. 현재 DASH는 7.79% 떨어진 483.4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8) 中 베이징시, 블록체인 기술 도입으로 신용 중심의 감독 체제 갖춘다
최근 중국 베이징시의 경제정보화위원회(北京市经济和信息化委员会) 측은 “3월말까지 신용 관련 빅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응용 시범 프로젝트를 출범할 것이며,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과 자원으로 신용 중심의 새로운 시장 감독 체제를 구축해 사회와 경제 질서를 바로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9) 80%에 해당하는 기업들, 암호화폐의 거래 분야 응용에 관심
최근 미국의 시장 조사 및 리서치 기업인 뉴스타(Neustar)가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비록 암호화폐의 극심한 가격 변동과 안전성은 검증 받지 못한 상태지만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 중 80%는 BTC, LTC를 비롯한 암호화폐 거래 응용 분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암호화폐 시장이 점점 성숙해짐에 따라 보안성 역시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40%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디도스(DDos) 공격과, 랜섬웨어 및 해커들의 공격에 대응할 수 있을 만한 조치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영국의 컴퓨터 비즈니스 리뷰(Computer Business Review)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참여 기업들 중 45%에 해당하는 기업들은 디도스 공격에 대한 대책은 현재 기업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문제이며, 랜섬웨어 대책 역시 그 뒤를 이어 가장 큰 관심사인 것으로 밝혀졌다.
10) 다시 하락세로 접어든 코인 시장
오늘 새벽 비트코인(BTC) 시세가 9,000 달러선까지 무너지며 8,800 달러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현재 코인 시장은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테마 종목들 중 포크 코인 종목이 평균 7.91% 상승해 분전하고 있으며, 위조 방지 테마 종목들 역시 1.11%의 소폭 상승률을 보였다. 포크 코인 테마 종목들 중 ETF가 289.90% 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평균치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이며, 이를 제외한 다른 종목들은 전부 하락세를 보였다. 소셜 통신 테마 종목들은 10.29%의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슈퍼컴퓨터(-10.06%), 시장 예측(-9.89%), 콘텐츠 저작권(-9.69%) 테마 코인들 역시 부진을 면치 못 했다.
11) 中 중앙당교 첸지엔치 교수 “탈중앙화는 역사적 추세, BTC 40만 달러선 가능”
중국공산당 중앙당교(Central Party School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中國共産黨中央黨校)의 첸지엔치(陈建奇) 교수는 칭화대학교 경영학원에서 주최한 암호 경제학 포럼에서 “탈중앙화는 역사적 추세이며, 사회의 발전이 반영된 현상이다. 이에 선진국들을 포함한 여러 대국들은 이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만약 언젠가 비트코인이 ‘글로벌 화폐’로 거듭날 수 있다면, 중기적 관점에서 비트코인의 시세는 약 2~3만 달러의 가치를 지닐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는 40만 달러에 육박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XF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폭락과 G20 재무장관회의 (0) | 2018.03.17 |
---|---|
비트코인 가상화폐 매매시 세력 급등코인 펌핑코인 찾는법 (1) | 2018.03.13 |
비트코인 BTC마켓 세력 펌핑이유 (0) | 2018.03.02 |
비트코인 현재 상황 / 비트코인 하락에 대한 한마디 (0) | 2018.02.25 |
2월 23일 CME선물거래 마지막날 투자주의 (0) | 2018.02.21 |
XFILE
2018. 3. 12. 10:55
COMMENTS